달력

2

« 2025/2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2007. 11. 26. 23:08

나의 결혼원정기, 정재영, 수애 영화2007. 11. 26. 23:08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연이어 정재영이 등장하는 한국영화다. 재미는 별로 없었지만, '바르게 살자'에서의 정재영은 그나마 이미지가 어색하지 않았지만, 이번 영화에서는 왠지 맞는 것 같으면서도 망가졌다는 생각이 들었다. 약간은 고음톤을 유지하는 목소리가 낯설게 느껴졌을 뿐만 아니라, 술먹고 주정을 부리는 부분에서는 아예 그 장면을 스킵했을 정도다.

무엇보다 극중 만택과 희철의 우정이 가장 웃음을 자아내게 했다. 일상의 우리들 이야기처럼 티격태격하는 소소한 장면들에서 공감이 갔고, 특히나 영화 초반부에서 둘이서 노래부르는 부분에서는 자칫 내 자신을 투영시킬뻔 했다. 하하. 특히나 희철이 그해 가을에 결혼한다고 다른 사람한테 거짓말을 한 것을 진실로 받아들이고, 깜짝 놀라는 만택의 표정과 반응은 압권이었다. 오래도록 자신의 곁을 지켜준 이성이 떠날 때의 반응이랄까. 친구 한 놈 생각이 났다. 헛.

수애부터 시작해서 우즈베키스탄을 배경으로 등장하는 여자 배우들이 다들 괜찮아 과장하자면, 자칫 우즈베키스탄의 낭만을 꿈꿀 뻔 했다. 하하. 어쨌든 우직하고 곰같은 성격의 만택과 요리조리 이해타산적이고, 다소 영악한 희철 모두 영화 속에서 해피엔딩을 맞았다. 해피엔딩을 맞을 수 밖에 없는 스토리이기도 하고.

여담이지만, 영화 속에서 어떤 할아버지가 정재영의 신발을 관찰하면서 수애를 보고, 만택이 좋은 남자라고, 그 이유는 신발 뒷굽의 안쪽이 닳아있다고, 그러면 성실한 사람이라고 한 장면이 있다. 신발의 뒷굽 바깥쪽이 많이 닳지만서도 성실한(?) 나로서는 몹시 기분나쁜 '성급한 일반화'의 대표적인 예였지만, 가만 생각해보니 나름 일리있는 추측이라는 생각이 들어 피식했다. 신발이 닳아있는 부분은 당연히 걸음걸이와 연관이 있을 것이고, 종종 걸음걸이는 개인을 드러내기도 하지 않은가.

주말에 포레스트 검프를 봐서 그런지 수애가 만택(정재영)에게 가방을 맡기며 도망가라고, 절대 잡히지 말라고 말하는 장면에서는 영화 '포레스트 검프'에서 제니가 검프에게 당부하는 부분이 오버랩되었다. 영화 속 만택이 검프처럼 저능아로 등장하지는 않지만, 뛰는 모습을 보고 있노라면 여지없는 바보 아닌가.

하지만, 역시 사람은 본연의 순수함을 잃어서는 안된다.

:
Posted by retriever
2007. 11. 25. 22:58

포레스트 검프, 톰 행크스 영화2007. 11. 25. 22:58

사용자 삽입 이미지

life is a box of chocolate, Forrest, you never know what you are gonna get.

1994년 이 영화가 처음 나왔을때 이미 난 영화를 접한 경험이 있었다. 당시에도 이 영화는 많은 인기를 끌었었고, 사람들에게 감동을 가져다 주었었다. 난 무엇이 사람들에게 '감동'을 가져다 주었는지 깊은 호기심을 가지고 영화를 보았다. 그리고 감동을 받지 못했었다. 감동을 받을 준비는 하지 않은 채, 그저 감동적인 무언가를 찾는 것에 불과했으니까.

그 이후에도 나에겐 익숙한 영화였다. 영어 공부를 위해 난 포레스트 검프 영어학습 테잎과 책을 샀고, 한때 여러번 듣기도 했다. 이미 그것도 몇년이 지나버린 일이긴 하지만.

처음 영화를 접한지 10년이 훌쩍 지난 지금, 난 다시 영화를 보았고, 그리고 감동을 받았다. 인생은 초콜렛 상자와도 같다고 가르치는 포레스트 어머니의 마음도, 어릴적 가장 아름다운 순간을 기억하는 포레스트의 추억도, 평생 제니만을 마음에 담는 진심어린 포레스트의 사랑도... 모든 것이 새롭게 보인다.

I do remember the first time I heard the sweetest voice in the wide world.
"You can sit here if you want."
I had never seen anything so beautiful in my life. She was like an angel.

제니와의 첫 만남을 회상하는 포레스트 검프의 대사이다. 각자 나름의 아픔을 가지고 성장하게 되는 두 사람의 만남과 이별, 그리고 재회가 이 영화 전반을 지배하고 있다. 포레스트의 인생 전반에 걸쳐 항상 그 마음의 한편에 제니가 자리잡고 있었기 때문이다.

but is he smart?

어머니로부터 다른 사람과 다르지 않다고 듣고 자랐지만, 포레스트의 마음 속에 자리잡고 있는 '자격지심'이 드러나는 말이다. 왠지 마지막 부자의 모습은 왠지 영화 'I am sam'을 연상시켰다.

좋은 영화였다. 영화 전반에 흐르는 삽입곡들도 좋아서 몇 찾아보았다.

:
Posted by retriever
2007. 11. 22. 22:55

[연극] 강풀의 순정만화 영화2007. 11. 22. 22:55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연극 [그 남자 그 여자]를 본지 얼마 되지 않아, 또다시 한편을 더 보게 되었다. 처음엔 [머쉬멜로우]라는 연극을 볼 생각이었지만, 부득이 시간이 맞지 않아 작품을 바꾸게 되었다. [머쉬멜로우]라는 작품도 호평을 많이 받은 재미있는 작품이라 믿어 의심치 않지만, [강풀의 순정만화] 역시 기대를 100% 충족시켜 주었다.

같은 가을엔터테인먼트에서 내 놓은 작품이라 그런지 [그 남자 그 여자]와 유사한 구조와 성격을 띄고 있었지만, 즐거움과 유쾌함이 있었다. 두 연극에서는 똑같이 1인 다역 배우가 연극의 감초와 같은 역할을 하면서, 관객들에게 웃음을 선사하는데, 연극의 초반부에는 이번 연극의 감초 역할을 하는 배우분이  [그 남자 그 여자]의 극중 '케빈'에 비해 다소 흡인력이 부족하다는 느낌이었다. 하지만, 그것은 이미 한번 비슷한 작품을 관람했기 때문이라고 스스로를 위로하며, 연극이 주는 '매력'과 '즐거움'에 푹 빠져보리라 마음먹었다.

결과는 대성공. 이미 '웃음의 신봉자'가 되어버린 나는 재미와 유쾌함이 있는 연극 무대 속으로 빨려들어갔고, 나의 소중한 시간과 맞바꿀만한 충분한 가치가 있는 작품이었다. 기분이 좋아지는 연극이었고, 가을엔터테인먼트에서 내놓은 또 하나의 작품 '커피프린스 1호점'도 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더불어, 극 중 권하경으로 나왔던 배우가 참 괜찮았던 것 같다. 연극을 보고 나서 아쉬운 점 중에 하나가 극 중 배우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얻기 어렵다는 점이다. 물론 대단한 열정이라면야, 그런 것쯤이야 어떻게든 알아낼 수도 있겠지만, 나는 그렇지를 못하기에 몇번 찾아보다가 말았다. 원래부터 맡아오지 않고, 최근에 합류한 배우가 아닌가 싶다.

:
Posted by retriever
2007. 11. 19. 22:52

바르게 살자, 장진, 정재영 영화2007. 11. 19. 22:52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정재영이라는 배우, 참 매력있는 배우라고 생각한다. 그가 나온 영화 중 내가 본 것들은 '아는 여자', '실미도', '웰컴투 동막골', '거록한 계보' 등이었다. '아는 여자'에서의 그의 모습도 인상적이었고, '실미도'에서도 카리스마가 있었다. 특히 그다지 잘 알려지지 않은 영화 '거룩한 계보'에서의 그의 캐릭터는 정감이 갔다. 정준호와 함께한 듀오 역할은 그럴듯하게 어울렸고, 그가 구사하는 구수한 사투리도 정감이 갔다. 그 외에 '피도 눈물도 없이', '킬러들의 수다'와 같은 괜찮은 작품들에도 등장을 했다.

하지만 나는 배우를 보고 영화를 보는 관객은 아니다. 철저하게 재미있다거나 괜찮은 작품이라는 확신이 들때만 비로소 시청을 하게 된다. 그냥 무심코 케이블방송에서 영화가 하고 있는 시간과 내가 밥상 앞에 앉아 있는 시간이 겹칠때를 제외하면 말이다. 그렇게 우연히 이런저런 영화들을 보다보면, 자주 만나게 되는 배우들도 있고, 실제로 이름있는 배우들이지만 영화 속에서는 거의 접하지 못하는 배우들이 있다. 생각해보니, 은근히 내가 특정 배우들에 대한 거부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인 것 같기도 하다ㅎ

이번 '바르게 살자'라는 영화 역시 주위 사람들의 추천이 있었다. 적어도 2-3 명에게서 영화가 재미있고 볼만하다고 들었던 것 같다. 기왕 영화를 극장에서 볼거면, 여러 사람들과 같이 함께 웃을 수 있는 '코미디' 영화를 택하자는 마음이 생겼다. 그래서 동시에 상영하고 있는 '색, 계'나 '원스', '세븐 데이즈'와 같은 작품들을 멀리하고 '바르게 살자'를 택한 것이었다.

결과적으로 나의 기대가 너무 컸다. 나는 철저하게 웃고 싶어서, 웃기 위해서 극장의 한 자리를 차지하고 앉아 있었고, 슬로우모션과 같은 느릿한 전개로 영화가 조금이라도 지루해지는 것을 원치 않았다. 처음 몇번 웃고 싶어서 웃는 사람처럼 영화의 코드에 내 자신을 맞추어나가는 듯 싶었지만, 이내 영화 중반부터는 기대에 한참 못 미칠것만 같다는 불안에 사로잡혔다.

그럼에도 영화 속의 몇몇 재치있는 발상과 언어 유희 등에는 재미있는 반응을 보였나 보다. 옆에서 같이 영화를 보았던 친구는 내가 꽤나 영화를 재미있게 관람한 것으로 착각하고 있었으니 말이다. 나도 모르게, 즐겁고 재미있는 장면들을 충분히 만끽했다면, 그 역시 나쁘진 않다.

"그건 동물적인 감각이 아니라, 동물들이나 하는 짓이야!"

:
Posted by retriever
2007. 10. 25. 22:36

[연극] 그 남자 그 여자 영화2007. 10. 25. 22:36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오랜만에 참 재미있는 연극을 봤다. 지난해부터 본 것들은 대체적으로 연극이라기보다는 소규모 뮤지컬들이었기 때문에 연극을 본 것은 실로 오랜만이라고 할 수 있었다. 친구의 추천이 있었고, 맘껏 웃을 수 있었다. 친구에게 고맙다는 말 우선.

물론 내용은 누구나 예상할 듯한 뻔한 내용이다.

연극 뿐만 아니라 작품을 보는 사람들의 모든 관점이 다르고, 또 기대하는 방향도 다르겠지만, 나는 '그저 재미있고 유쾌한' 것을 가장 으뜸으로 치고, 또 그러한 기대를 가지고 관람을 했기 때문에 굉장히 만족스러웠다. 단순해질수록 즐겁다.

같은 내용이라도 꾸미고 표현하기에 따라 이렇게 다르다. 참 재치가 있고 센스가 있는 대사와 표정, 그리고 행동들.

비록 연극이지만, 그 '행복'을 바라보는 '따뜻한 공감대'랄까, 물론 내가 그 입장은 아니지만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내용인 것은 사실이니까. 스스로에게서 그러한 '공감대'를 느끼고, 함께 축복하고 즐거울 수 있다면 그것만으로 큰 변화 아닌가.

:
Posted by retrie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