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친, 신민아, 주지훈 영화2009. 2. 8. 22:37
아직 손예진 주연의 '아내가 결혼했다'라는 영화를 아직 보진 못했지만, 오늘 본 키친이라는 영화와 어느정도 일맥상통하는 면이 있을 것 같다. 여성들의 반란이랄까. 과거에 남성에게만 당연시되었던 역할이 여성에게 주어지면서 과거에는 마냥 비난받았던 일이 다소 '미화'되는 경향이 보여진다. 물론 그것은 성별 때문이라기 보다 시대상을 반영하는 결과물이라는 생각을 한다. 남성과 여성의 지위가 동등해지고, 여성의 사회적 독립성이 강해지면서 자연스럽게 성별과 무관하게 일어날 수 있는 일들이기 때문이다. 다만 작품의 '미화'를 위해서는 아무래도 그동안 순수한 쪽에 속해 있었던 '여성'을 주인공을 내세우는 것이 훨씬 공감대를 많이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감정은 결코 뜻대로 되지 않는다. 고로 나는 감정에 충실한다. 이것이 영화 속 박두레의 생각이다. 우리나라의 분위기에서 이 생각은 다소 위험성이 있다. 모든 욕구와 감정이 이성의 지배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다면, 심각한 사회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욕구 때문에 범죄를 저지르는 것도 이해를 받고, 감정 때문에 바람을 피는 것도 동정받아야 한다면, '옳고 그름'에 대한 사회적 기준은 심각한 도전을 받을 수 밖에 없다. 미국이나 여타 사회에서는 '성'이라는 것을 기준으로 두었을때 훨씬 관대하고, 우리와는 다른 시각에서 접근하는 경우도 많다. 결혼을 하고, 감정에 따라 쉽게 이혼을 하기도 한다. 사회적으로 어디까지 용인되고 또 받아들여질 수 있느냐 하는 문화적인 문제이기도 하다. 영화 속 박두레와 같은 생각을 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우리 사회의 가치 규범도 변할 것이고, 개인이 또 규범에 맞추어 살게 되는 순환고리가 이어질 것이다.
영화 속 안모래. 스스로의 이야기처럼 모든 이야기들이 어쩌면 그녀의 욕심 때문일지도 모른다. 달콤한 유혹 앞에서 어느 것도 잃기가 싫었기 때문에 다소 위험한 줄타기를 하며 그 상황을 즐긴 셈이다. 그녀를 비난하고 싶은 마음은 없다. 동시에 이해하고 싶은 마음도. 다만 이기적인 천성을 가졌다고 밖에. 아끼는 동생과 아내로부터 상처를 받았지만 결국 그 둘을 이해하고 용서하는 방향으로 결론을 짓게 된다. 2시간짜리 영화를 만들면서 1시간 40분동안 마구 벌려놓고 20분만에 급봉합시키는 느낌이 드는, 해피엔딩을 만들기 위해서 밤새도록 머리를 쥐어짰지만 결국 텅빈 머리 속에서 나온 급조된 마무리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렇게 저질러놓은 상황에서 해피 엔딩이라는 게 사실 가당키나 할까. 그렇다고 엔딩을 비극적으로 끌고 가는 것은 작품이 처음 추구했던 메세지와는 길을 달리 하게 된다. 결국 용서와 화해로 끝. 시간이 흐르고 나서도, 이 상황을 용서하고 이해하기로 한 영화 속 한상인이 그 마음 변치 않기를 바랄 뿐.
많은 사람들이 작품의 영상미를 칭찬했다. 사실 영화를 보면서 그 생각은 미처 하지 못했다. 영화를 보는데도 정말 다양한 관점이 있다는 사실을 잠시나마 망각한 느낌이다. 개개인의 심리를 계속 따라가다 보니까 미처 다른 것을 볼 겨를이 없었다고 하면 다소 핑계가 될까. 각각 다른 상황에 처한 세 사람의 입장에서 서보느라 2시간 동안 흡인력 있게 재미있게 보았다. 역시 영화는 다 때가 있다. 적절한 시기에 접한 셈이다.
영화의 내용과는 별개로 한상인이 몸담았던 야구팀의 로고. 최근에 구글에서 'R'에 관련된 로고를 검색하다가 봤었는데, 미국 휴스턴에 있는 라이스 대학의 로고이다. 왠만하면 로고 하나 만들어서 쓰지ㅋ. 그렇게 로고를 가져다 쓰는 것은 저작권 같은 것에 저촉이 안되는지 모르겠다.
영화 속에서 김선우 역으로 나오는 전혜진. 보면서 별 생각을 못했는데 집에 와서 다시 보니 이선균의 연인인 그녀다. 왠지 영화 속의 모습의 실제의 성격일 것만 같은 느낌이 든다. 아니면 그만큼 연기를 잘했다는 뜻일수도.
네티즌에게서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하는 작품이긴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참 마음에 들었던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