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 12. 22. 12:17
죽은 시인의 사회, 로빈 윌리엄스, 피터 위어 영화2005. 12. 22. 12:17
SEIZE THE DAY....
90년에 개봉된 영화를 15년이 지난 후에야 접했다. 'Free Thinker'를 꿈꾸는 열일곱살의 학창시절.. 나조차도 그로부터 10년이 지났다. 좋은 영화다. 영화를 보면서 주인공들과 비슷한 또래의 그 시절에 이 영화를 봤다면 내 생각이나 생활들이 조금이나마 달라졌을까 생각도 해봤지만, 그대로였을 듯 싶다.. 물론 그때도 영화에 동감을 했겠지만...
![사용자 삽입 이미지](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6/9_33_17_9_blog154778_attach_1_107.jpg?original)
Gather ye rosebuds while ye may,
Old time is still a-flying,
And this same flower that smiles today,
Tomorrow will be die."
"gather ye rosebuds while ye may,"
The Latin term for that sentiment is Carpe Diem.
영화의 가장 멋진 대사로 '카르페디엠'의 의미를 설명하는 이 부분이 핵심으로 사랑을 받고 있다. 어쩌면 너무도 유명해서 거론할 여지가 없다. 개인적으로 "we are food for worm lads"라는 말도 좋았다. Left, Right 등의 cadence를 외치며 교정에서 Marching을 하던 모습은 군복무 시절을 떠올리게 하기도 했지만, 동시에 키팅의 장문의 대사도 인상적이었다. '신념'이라는 단어는 언제 들어도 무언가 진지함이 묻어나오는 것 같다.
I brought them up here to illustrate the point of conformity. The difficulty of maintaining your own beliefs in the face of others. There are those of you, I see a look in your eyes like " I would have walked differently." Well, ask yourselves why you were clapping. Now we all have a great need for acceptance, but you must trust that your beliefs are unique, your own, even though others may think them odd or unpopluar. Even though the heard may go " That's bad." Robert Frost said, " Two diverged in a yellow wood and I, I took the one less travelled by, and that has made all the difference." I want you to find your own walk right now, your own way of striding, pacing: any diection, anything you want.
어떻게 보면 지나친 '자유의지'의 강조로 가족과 학교, 사회라는 집단의 구성원으로서의 책임과 의무를 상대적으로 간과하는 키팅의 교육철학에 대해서 의문을 제기하는 사람도 있었다. 난 글쎄... 별 상관없다는 생각이 든다. 아무리 '자유'를 강조한들 자유로울 수 없을 것이다. 키팅이 말하는, 일체감 속에서 다수로부터 환영받지 못하는 자유의지는, 그동안 내 자신 스스로도 용납하지 않으면서 지내왔지만, 때론 남들과 다르게, 내 뜻대로 걸어보는 것도 결국 "the food for worm lads"인 삶에서 때때로 꿈꾸어 볼 수 있는 일이지 싶다.
I brought them up here to illustrate the point of conformity. The difficulty of maintaining your own beliefs in the face of others. There are those of you, I see a look in your eyes like " I would have walked differently." Well, ask yourselves why you were clapping. Now we all have a great need for acceptance, but you must trust that your beliefs are unique, your own, even though others may think them odd or unpopluar. Even though the heard may go " That's bad." Robert Frost said, " Two diverged in a yellow wood and I, I took the one less travelled by, and that has made all the difference." I want you to find your own walk right now, your own way of striding, pacing: any diection, anything you want.
어떻게 보면 지나친 '자유의지'의 강조로 가족과 학교, 사회라는 집단의 구성원으로서의 책임과 의무를 상대적으로 간과하는 키팅의 교육철학에 대해서 의문을 제기하는 사람도 있었다. 난 글쎄... 별 상관없다는 생각이 든다. 아무리 '자유'를 강조한들 자유로울 수 없을 것이다. 키팅이 말하는, 일체감 속에서 다수로부터 환영받지 못하는 자유의지는, 그동안 내 자신 스스로도 용납하지 않으면서 지내왔지만, 때론 남들과 다르게, 내 뜻대로 걸어보는 것도 결국 "the food for worm lads"인 삶에서 때때로 꿈꾸어 볼 수 있는 일이지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