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
MBC 100분 토론(2008.12.18)
retriever
2008. 12. 21. 23:56
패널의 구성이 나름 화려한데다가 연예인 MC 김제동이 출연한다고 하여 호기심에 100분 토론을 보았다. 개인적으로 이런저런 사회, 정치적 이슈에 관심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방송에서 하는 토론프로를 즐겨보지는 않는다. 자기 주장의 나열에 불과한 경우가 많고, 종종 실제로 그런 생각을 갖고 있는게 맞아? 라고 생각할 정도로 상식밖의 주장을 펼치는 사람도 많기 때문이다. 대화를 통해 합의를 도출해낸다는 것이 얼마나 힘든 일인지를 명확하게 보여준다.
한나라당 국회의원 나경원, 중앙대 뉴라이트 제성호 교수와 전원책 변호사, 유시민 전장관, 진중권 교수, 신해철, 김제동 등이 출연했다. 나머지 2명은 이름을 모르는 관계로 패스. 한나라당 홍준표 의원이 나왔으면 더 볼만했을텐데 하는 아쉬움도 다소 있었다. 가끔 내 자신이 어느정도의 객관성을 가지고, 또 어느정도의 주체성을 가지고 여러가지 문제들을 판단하는지에 대한 의구심이 들때도 있지만, 때론 너무도 당연하게만 느껴지는 것들을 가지고 서로 토론을 하고 있는 것에 대해 화가 치밀기도 하고 어이가 없어지기도 한다. 물론 그 TV토론이라는 것이 서로간의 합의를 도출하고자 하는 목적이 아니고, 시청자들로 하여금 누구의 주장이 더 타당성이 있는지를 검증받기 위한 것이라는 것은 알고 있다.
2008년을 채웠던 이런저런 사건들에 대한 이야기들이 있었고, 새로운 정부의 지난 1년을 평가하는 이야기들이 오갔다. 그 이야기들 중 공방거리가 되었던 것들은 '최진실법'이라고 불렸던 사이버모욕죄 논의와 소고기 파동과 촛불 집회, 교과서 왜곡 및 수정문제, 민주주의의 위기에 관한 문제 등이었다. 인터넷과 오프라인 등을 통해서 여러 이야기들을 들었고, 개인적인 의견도 있다. 공동체의 일원이라면 누구나 주변 사회에서 돌아가는 여러가지 문제들에 대해서 최소한의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하며, 민주주의 국가에서는 자신에게 주어진 참정권을 소중하게 생각해야함이 마땅하다.
인터넷을 좋아하고, 많이 사용하는 사람으로서 사이버모욕죄의 경우는 절대적으로 반대한다. 인터넷의 익명성을 감안하면, 최소한의 사이버 매너가 필요한건 사실이지만, 명예훼손죄와 같은 대체할 수 있는 법이 있고, 굳이 사정기관에서 범죄의 여부를 판단하기 애매한 부분을 가려내어 처벌한다는 것도 어불성설이다. 우리나라 정치의 수준과 법의 '모호성'을 감안하면, 충분히 불순한 의도로 법이 악용될 소지가 다분하다.
교과서 왜곡 문제와 관련한 교육도 요즘 하나의 큰 이슈거리이다. 자주가는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서 우연히 만평 하나를 접했다. 일제고사를 거부하고, 학생들에게 체험학습의 자유(?)를 준 교사들을 해직, 징계한 것을 빗댄 것이다.
한나라당 국회의원 나경원, 중앙대 뉴라이트 제성호 교수와 전원책 변호사, 유시민 전장관, 진중권 교수, 신해철, 김제동 등이 출연했다. 나머지 2명은 이름을 모르는 관계로 패스. 한나라당 홍준표 의원이 나왔으면 더 볼만했을텐데 하는 아쉬움도 다소 있었다. 가끔 내 자신이 어느정도의 객관성을 가지고, 또 어느정도의 주체성을 가지고 여러가지 문제들을 판단하는지에 대한 의구심이 들때도 있지만, 때론 너무도 당연하게만 느껴지는 것들을 가지고 서로 토론을 하고 있는 것에 대해 화가 치밀기도 하고 어이가 없어지기도 한다. 물론 그 TV토론이라는 것이 서로간의 합의를 도출하고자 하는 목적이 아니고, 시청자들로 하여금 누구의 주장이 더 타당성이 있는지를 검증받기 위한 것이라는 것은 알고 있다.
2008년을 채웠던 이런저런 사건들에 대한 이야기들이 있었고, 새로운 정부의 지난 1년을 평가하는 이야기들이 오갔다. 그 이야기들 중 공방거리가 되었던 것들은 '최진실법'이라고 불렸던 사이버모욕죄 논의와 소고기 파동과 촛불 집회, 교과서 왜곡 및 수정문제, 민주주의의 위기에 관한 문제 등이었다. 인터넷과 오프라인 등을 통해서 여러 이야기들을 들었고, 개인적인 의견도 있다. 공동체의 일원이라면 누구나 주변 사회에서 돌아가는 여러가지 문제들에 대해서 최소한의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하며, 민주주의 국가에서는 자신에게 주어진 참정권을 소중하게 생각해야함이 마땅하다.
인터넷을 좋아하고, 많이 사용하는 사람으로서 사이버모욕죄의 경우는 절대적으로 반대한다. 인터넷의 익명성을 감안하면, 최소한의 사이버 매너가 필요한건 사실이지만, 명예훼손죄와 같은 대체할 수 있는 법이 있고, 굳이 사정기관에서 범죄의 여부를 판단하기 애매한 부분을 가려내어 처벌한다는 것도 어불성설이다. 우리나라 정치의 수준과 법의 '모호성'을 감안하면, 충분히 불순한 의도로 법이 악용될 소지가 다분하다.
교과서 왜곡 문제와 관련한 교육도 요즘 하나의 큰 이슈거리이다. 자주가는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서 우연히 만평 하나를 접했다. 일제고사를 거부하고, 학생들에게 체험학습의 자유(?)를 준 교사들을 해직, 징계한 것을 빗댄 것이다.
자세한 내막이야 어떤지는 잘 모를 일이다. 항간의 다른 주장처럼 모든 교사가 순수하게 학생들의 바른 성정을 키우기 위한 인성 교육 차원에서 체험학습을 장려한게 아닌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무엇인가 잘못되어 가고 있다는 느낌이 든다. 좋은 대학에 목을 매며 입시 지옥으로 학생들을 내모는 어른들의 탓이리라.
깊이 들어가면 자꾸 쳇바퀴만 돌 뿐이다. 결국 누구의 잘잘못이라고 보기도 힘든 자연스러운 결과일지도 모른다. 누구나가 가지고 있는 욕심과 공동체를 구성하고 있는 사람들의 속성을 감안한다면. 그래서인지 때론 회의가 들고, 자녀를 가진 부모가 된 다는 것이 무엇보다 두려운 일이라는 생각도 든다. 어떤 교육이 가장 바람직한 것인지를 모르기 때문이다. 확고한 원칙과 분명한 소신이 없다면 나 역시 별 다를 수 없을 것이다.
토론 과정에서 나온 이야기 중, 교육의 중요성에 대해서 다소 간과하는 이야기에는 반대한다. 유시민 전장관이나 김제동씨가 이념이나 사상 등이 교과서를 바꾼다고 해서 달라지지 않는다는 뉘앙스의 말을 했는데, 어린 시절의 교육은 아이들의 생각과 인격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한다. 물론 자라나면서 그러한 생각들이 변할 수 있지만, 어떤 교육을 받고 자라나는가는 굉장히 중요하다. 어른들이 균형잡힌 시각을 제시해주지 못한다면, 아이들 역시 그러한 균형을 잡는데 꽤나 오랜 시간이 걸릴지도 모를 일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