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구

패배에서 벗어날 줄 아는 타이거즈

알 수 없는 사용자 2006. 10. 25. 00:36
10/23/2006 12:49 AM ET
These Tigers know how to rebound
The bounce-back kids brush off Game 1 loss to even Series
Baseball Perspectives
Mike Bauman

DETROIT -- The Detroit Tigers have become the ultimate bounce-back team. By now, it is no accident.
디트로이트 타이거스는 회복이 무척 빠른 팀이 되었다. 지금까지는 그것이 단순한 우연이 아니다.

What you need for this line of work is a pitcher who will keep you in the next game and an attitude that won't allow for sulking, pouting and self-pitying. In Game 2 of the 2006 World Series on Sunday night, the Tigers had both.
이것이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다음 경기를 책임져 줄 투수가 있어야 하고, 실의에 빠지거나 스스로 무력해지는 태도를 결코 허용하지 않아야 한다. 일요일밤 2006 월드시리즈 2차전에서 타이거스는 둘 모두를 지녔다.

The Series opener had been dismal in all facets for the Tigers, a 7-2 loss to the St. Louis Cardinals in which nothing had gone in their direction or according to plan. They had lost to Anthony Reyes, supposedly the Cardinals' most vulnerable starter. They had lost at home. Oh, it was bad.
7-2로 패한 1차전은 모든 면에서 디트로이트에게 우울한 시작이었고, 무엇하나 그들의 의도나 계획대로 이뤄지지 않았다. 그들은 세인트루이스의 선발투수 중 가장 취약한 것으로 보이는 안쏘니 레이예스에게 패했다. 그들은 홈에서 패했고, 그것은 좋지 못했다.

Their reaction could be described in two words: "So what?" They tossed that Game 1 setback over their shoulders and went to work in the Comerica Park cold. They beat St. Louis, 3-1, and once again all things, including a championship, were possible.
그들의 반응은 두 단어로 축약된다. “그래서 어떻다고?”, 그들은 1차전의 패배를 어깨 너머로 날려버리고, 유유히 코메리카 파크의 2차전을 준비했다. 그들은 세인트루이스를 3-1로 물리쳤고, 챔피언이 되는 것을 포함해 다시 한번 모든 것이 가능한 것처럼 보였다.


The immediate reason for this transformation was the work of Kenny Rogers, who has staged his own transformation, remaking himself from postseason chump to October ace, all at age 41. On Sunday night, for the third straight postseason start, he was brilliant.
이런 변모가 가능했던 직접적인 이유는 케니 로저스의 활약 때문이다. 그는 그 나름대로 변화된 모습을 보이고 있고, 41세의 나이에 형편없는 포스트시즌 선수에서 10월의 에이스로 거듭나고 있다. 일요일밤, 세 번 연속 포스트시즌 선발등판에서 그는 빛났다.

Rogers pitched eight scoreless innings in Game 2, running his postseason streak to 23. He is pitching with emotion, but controlled emotion, channeling it into every pitch. He has become one-stop shopping for pitching entertainment. He is pitching masterpieces, accompanied by the sound track of a man excited to be at work.
로저스는 2차전에서 8이닝 무실점을 기록하면서 그의 포스트시즌 무실점 기록을 23이닝으로 늘렸다. 그는 감정을 싣고 던지고 있다. 하지만 그 감정은 절제된 것이며, 투구 하나하나에 실어서 던지고 있다. 피칭을 엔터테인먼트 산업에 비한다면, 로저스의 피칭은 원스탑 쇼핑몰에 해당한다. 그의 피칭은 일에 열정적인 사람의 고함이 사운드 트랙으로 첨부된 한 편의 걸작과도 같다.

"I think he's on a mission," said manager Jim Leyland.
“로저스는 아마도 소명의식을 가지고 투구하는 것 같다.” 감독 짐 리랜드는 말했다.

The other part of this is the forget-yesterday, let's-go-get-'em attitude, instilled in this club by Leyland, and carried around on a daily basis by the Detroit players as though it was as much a part of their daily routine as a glove.
디트로이트가 회복이 빠른 또다른 이유는 빨리 어제를 잊고. ‘나가서 싸우자’라는 자세 때문이다. 그런 정신자세는 리랜드에 의해 팀에 스며들었는데, 마치 글러브가 선수들의 일상적인 경기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듯이 디트로이트 선수들은 매일 그 자세를 지닌다.


They are able to forget the negative. They were able to shed the effects of long seasons of losing. They were able to shed the effects of losing the last five regular-season games, along with losing the American League Central title to the Twins on the last day of the season. So putting this one World Series loss behind them, dispiriting as it might have been, was a fairly routine piece of work for the Tigers.
그들은 부정적인 것들을 잊어버린다. 그들은 오랜 패배의 시간들로부터 벗어날 수 있었고, 정규시즌 마지막 5연패도 잊어버렸다. 시즌 마지막 날 놓쳐버린 어메리칸 리그 중부지구 타이틀도. 월드시리즈 한경기 패배에 전혀 아랑곳하지 않고, 늘 그래왔던 것처럼 상대의 기세를 꺾는 것은 다분히 타이거스에게는 일상적인 일인 셈이다.

How has this club climbed beyond difficulty and defeat? Sunday night, third baseman Brandon Inge offered a clear and concise explanation on that issue.
어떻게 이 팀은 어려움과 패배들을 뛰어넘었을까? 일요일밤, 3루수 브랜던 인지는 그 부분에 대해서 분명하고 자세한 설명을 해주었다.

"For one, that was the new attitude that Leyland brought in," Inge said. "When you lose 119 games, you have to be harping on a lot of negative things. That's just the way baseball is, so much percent mental and a certain percent physical, and when you lose that many games, you had to have been harping on it.
“첫번째로, 그것은 리랜드가 가져온 새로운 분위기다.” 인지는 말했다. “119패를 했을때는, 부정적인 생각들로부터 벗어나기가 어려웠다. 야구는 그렇게 많은 부분을 정신적인 부분에 의존하고 일정부분만이 육체적인 것이다. 그래서 자꾸 패배를 하게 되면, 그것에 자꾸 얽매이게 되는 것이다.”

"So what he did, he came in and said: 'That's a losing attitude. Whenever something negative happens, turn the page, get rid of it, who cares? It's happened, you can't go back and change it, so why harp on it? Just focus on tonight. You can better yourself by winning the ballgame tonight, as opposed to harping on the negative you did last night, and then losing tonight's ballgame, too.'
“그가 한 일은, 그는 이렇게 이야기했다. ‘그것은 패배주의다. 안 좋은 일들이 생길때는, 기분을 전환하고 그것으로부터 벗어나야 한다. 누가 뭐라는가? 그런 일은 생기기 마련이고, 그 일을 돌이킬 수도 없는데, 왜 얽매이는가? 오늘밤에 집중하라. 오늘밤 게임을 이기면 우리 상황을 크게 향상시킬수 있다. 반면, 지난밤의 부정적인 상황에 얽매이게 되면 오늘 경기도 질 수 밖에 없다.’”

"To be honest with you, whenever you sit and think about every play that you should have made, every swing that you should have hit, that's a loser's mentality. It's just going to roll over and be another negative the next day. Just forget about it and take the same positive approach you've had all season and leave it all out on the field the next night.
“솔직히 말해, 경기도중 놓쳤던 모든 플레이, 모든 스윙를 돌이킨다면, 그것은 패배자의 정신이다. 그런 생각은 자꾸 길어지고 다음날에 악영향을 미친다. 그냥 잊어버리고 시즌내내 가졌던 긍정적인 자세를 갖도록 해라. 다음날 밤 필드에서 모든걸 발산해라.”

"It's pretty easy to do once you win some ballgames and you keep winning and winning. But then when you lose, we had a losing stretch there early in the season, and every day that we lost, he'd come walking through the clubhouse saying: 'Who cares? Turn the page. We've got a new day tomorrow.' And when you hear that from your manager, that's reassuring, you know? Very reassuring."
“게임에서 승리하거나, 승승장구하고 있을때 그렇게 하는 것은 아주 쉽다. 하지만 패했을때나 시즌초반에 패배를 거듭하고 있을때, 경기에서 패하는 날에 늘상 그는 클럽하우스를 거닐면서 이렇게 이야기한다. ‘누가 신경써? 기운을 내. 우리에겐 새로운 내일이 있다.’ 감독으로부터 그 이야기를 들을때는, 더욱 고무적이다. 아주 힘이 된다.”

Left fielder Craig Monroe, who has homered in both World Series games, echoed the same sentiments.
두 번의 경기에서 모두 홈런을 그려낸 좌익수 크렉 먼로 역시 같은 의견을 드러냈다.

"You know what, we've got a great skipper," Monroe said. "And the bottom line is: Every day is a new day. You've got to be able to turn the page, and that's what we do.
“우리는 훌륭한 감독과 함께 하고 있다.” 먼로는 말했다. “결론적으로, 매일매일 새로운 날이다. 매일 새로운 기분이 되는 것이다. 그것이 우리가 하는 일이다.”

"I think our atmosphere in the clubhouse, we trust those 24 guys and their ability. We pick each other up. Every day you feel you don't have to be the hero today, just go out there and do what you're capable of doing, and who knows, maybe you will be the hero."
“클럽하우스의 우리의 분위기는, 우리는 서로 24명의 선수들과 그들의 능력을 믿는다. 서로가 서로를 붇돋아주고, 매 경기 영웅이 되어야 한다고 압박을 받지도 않고, 단지 경기에 나가서 할 수 있는 부분들을 하고, 그러다 보면 그날의 영웅이 되기도 하는 것이다.”

The Tigers have had no shortage of heroes, because they have had no shortage of pitching, and no shortage of perseverance. They were 0-1 in the World Series and things looked bad. But you take the pitching and the perseverance, and forget the difficult loss, and one night later they are 1-1 and looking again like a team that is capable of great things.
타이거스는 히어로의 부족을 느낀 적이 없었다. 왜냐하면 투수진의 부족에 시달리지 않았고, 참을성이 있었다. 그들은 월드시리즈에서 먼저 1패를 했고, 상황은 안 좋았지만, 투수력과 참을성을 발휘했으며, 어려웠던 패배를 잊어버렸다. 하루 밤 후에 그들은 1-1 타이를 이루었고, 또다시 대단한 일을 해낼 수 있는 역량이 있는 팀으로 보였다.